용어정리45 Router 외 Bridge - 1~2 계층을 커버하는, 2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 - 하나의 회선에 너무 많은 기기(Station)가 연결되면 전체적 성능이 하락한다. 그래서 회선을 둘로 나누고, 두 회선(LAN)을 브리지로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 들어오는 패킷을 뜯어 MAC 주소를 보고 포워딩을 처리한다. Router - 1~3 계층을 커버하는, 3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치. - 패킷의 위치를 추출해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고, 패킷을 다음 장치로 이동시키는 장치. -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의 중계 역할을 한다. Routing Table - A에서 들어온 패킷은 B로 이동하라는 경로/이동 정보가 적힌 표. - 라우터가 목적지를 찾아가려면 일단 라우팅 테이블을 본다. Gateway - 서로 다른 프로토콜을 중계하는 7.. 2021. 7. 21. Load Balancer 웹을 통해 서비스를 개발/운영할 때, 트래픽이 몰리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서버에 부하가 걸려 서비스가 어려워질 수 있다. 트래픽이 몰리는 것을 방지해 서비스 가용성을 유지하는 것이 load balancer다. 하나의 서비스에 발생하는 트래픽이 증가할 때 여러 서버에 분산처리하여 해결하는 서비스다. load balancer의 장점으로는 1. 실행속도를 높일 수 있다. 2. 서비스 다운 시간 최소화 3. 서비스 병목현상 예측 4. 비용 절감 등이 있다. 2021. 7. 18. AMI, Image AMI(Amazon Machine Image) 아마존 EC2 VM(인스턴스)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AWS의 가상 Appliance 이미지. OS,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추가 SW를 포함한 읽기 전용 파일 시스템 이미지다. 인스턴스 루트 볼륨 템플릿(OS, AWS, APP), AMI를 통한 인스턴스 구동 권한, 시작 시 인스턴스에 연결할 볼륨을 지정하는 블록 디바이스 mapping으로 구성되어 있다. Image Snapshot을 템플릿화 한 것. 사용자는 이미지를 활용해 snapshot이 생성된 시점과 동일한 상태의 VM을 만들 수 있다. * Snapshot : VM Disk Volume의 현재 상태를 저장해 두고 사용자가 원하면 언제든 저장해 둔 시점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2021. 7. 18. Serverless Computing Service On-premise 시설을 관리해야 하는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선택했는데, 인스턴스들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에 봉착했다. 지속적인 관리라는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해 선택된 방법 중 하나가 바로 서버리스 컴퓨팅이다. IT 인프라를 별도의 준비 없이, 필요한 기능을 Function의 형태로 구현하고, Auto Scaling으로 리소스 수요의 변동에 대응하며 Backend를 대체한다.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의 형태 중 FaaS(Function as a Service)가 Serverless Computing Service를 의미한다. * FaaS(Function as a Service) : 기능 단위로 서비스를 제공, 개발자가 서버/리소스의 provisioning/관리 등의 문제에서 벗어날 수 있.. 2021. 7. 18. SSH Secure Shell(SSH) : 원격 호스트에 접속하기 위한 보안 프로토콜이다. 기존에는 Telnet이라는 접속 방식을 사용했다고 한다. 하지만 Telnet은 암호화를 제공하지 않아 보안이 취약했고, 암호화를 사용하는 SSH가 등장하자 원격 접속의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았다. 클라우드 서비스에서는 원격 접속이 기본이다. 사용자와 서버는 각각 Key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을 통해 상대를 인증하고 데이터를 주고받는다. - 보안 접속을 통한 서비스 제공 - IP Spoofing(IP 위변조) 방지 기능 제공 2021. 7. 18. 가상화(Virtualization) 가상화(Virtualization)란 HW에 종속된 리소스를 추상화하여 다양한 IT 서비스를 생성하는 솔루션을 의미한다. 다양한 IT 서비스, 에는 서버/저장소/네트워크 등의 SW IT 서비스가 있다. 가상화를 활용하면 물리적 기기의 기능을 여러 사용자에게 배포해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 출처 : https://www.redhat.com/ko/topics/virtualization/what-is-virtualization 가상화(Virtualization)란? - 정의, 기술, 장점 및 단점 가상화 기술이란 하드웨어에 종속된 컴퓨터 리소스를 추상화하여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의 소프트웨어 IT 서비스를 생성하는 솔루션을 뜻합니다. www.redhat.com 가상화의 종류로는 플랫폼 가상화와 리소스 .. 2021. 7. 15. 이전 1 ··· 3 4 5 6 7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