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정리45

AWS RDS Proxy AWS RDS Proxy RDS에서 연결(Connection)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주는 서비스. 서비스 설명을 위해 가장 자주 나온 서비스가 AWS Lambda인데, 연결의 생성과 해제가 잦아 적당한 예시라 생각한 듯. RDS를 사용하면 DB 인스턴스가 작동한다. 그리고 이 DB 인스턴스의 type에 따라 max_connection 수가 정해져 있다. 애플리케이션이든 서버리스 컴퓨팅이든 어쨌건 연결 수나 생성이 급증할 때의 처리를 도와주는 서비스. 새로운 DB 연결에 사용할 메모리/CPU 오버헤드 없이 연결을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대충 DB 연결에 있어서의 부하를 줄여주는 서비스라고 보면 된다. 2022. 2. 18.
Ingress/Egress Ingress 네트워크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의미한다. Egress 네트워크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을 의미한다. 외부에서 내부로(In), 내부에서 외부로(E) 라는 키워드만 생각하는 것이 좋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부분은 네트워크쪽이지만, 다른 방면에서 종종 사용되는 것 같다. 2022. 2. 18.
Scale out/Auto scaling in AWS RDS ※ 100% 이해하지는 못했다. 더 알아보자. RDS에서 스토리지 Auto scaling을 지원한다는 글을 보고, Aurora의 Auto scaling과 뭔 차이인가 해서 시작. https://aws.amazon.com/ko/about-aws/whats-new/2019/06/rds-storage-auto-scaling/ Amazon RDS, 이제 스토리지 Auto Scaling 지원 이전에는 예상되는 애플리케이션 수요를 기반으로 스토리지 용량을 수동으로 프로비저닝해야 했습니다. 언더프로비저닝은 애플리케이션 가동 중단을 초래할 수 있고 오버프로비저닝은 낮은 aws.amazon.com ??? : 뭐여. 이제 모든 엔진에 Auto scaling 지원하는거 아니냐? Aurora 왜 씀? -> 이게 아니니까 이 .. 2022. 2. 18.
Endpoint Endpoint (AWS 환경을 기준으로 설명) 대충 직역하면 끝 + 지점 무엇의 끝이고 무엇의 지점인가? AWS의 VPC들은 격리된 네트워크다. VPC 1에서 VPC 2로 가려면 외부 인터넷을 경유해서 가야 한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보안 방면에서 좋지 않다. 그래서 AWS의 테두리 안에서 통신(내부 통신)하기 위한 것이 엔드포인트. 그리고 어차피 다 같은 AWS 서비스끼리 통신하는 경우에는 굳이 외부 인터넷으로 나갔다가 들어올 필요는 없지 않나? 대충 비유하면 집 안의 다른 방으로 가겠다고 집 밖으로 나갔다가 들어갈 필요는 없다는 것. AWS의 엔드포인트는 몇가지 종류가 있다. 1. 게이트웨이 엔드포인트 : AWS 퍼블릭 서비스 중 S3/DynamoDB에 대한 연결 2. 인터페이스 엔드포인트 : 위 .. 2022. 2. 18.
Memcached Memcached(멤캐시트) 범용 분산 캐시 시스템. 무로/오픈 소스 SW다(BSD 라이선스). 유닉스/CentOS 같은 OS에서 동작하면서 Windows에서도 사용 가능하다. 외부 데이터 소스(DB, API 등)의 읽기 횟수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와 객체들을 RAM에 캐시 처리하고, 동적 DB-Driven 웹사이트의 속도를 높이기 위해 사용된다. 기능 자체로만 보면 키-값 쌍으로 메모리에 저장하거나 가져오는 것이 전부다. 주의할 점 1. 스토리지에 저장된 파일의 캐시로 사용하면 안된다. 파일에 대한 캐싱은 OS에서 제공하는 스토리지 캐시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 굳이 쓰려면 OS에서 제공하는 파일 캐시 기능을 끄기. 2. DB 쿼리 결과의 캐시로 사용하지 말 것. 요즘 대부분의 DBMS는 쿼리 결과의 캐.. 2022. 2. 17.
세션 클러스터링 Session Clustering 2대 이상의 WAS를 사용하는 경우 Load balancing/Failover/Auto scaling 등의 대체된 WAS에게도 세션을 공유하게 하는 기술. 대충 생각하면 2대의 서버가 부하 분산을 통해 사용자를 따로 받고 있을 때, 서버 1에 있던 사용자가 서버 2로 접속해도 사용자 정보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것. 보통 세션 클러스터링은 WAS 설정으로 세팅할 수 있다. 사용하는 WAS마다 설정 방법이 다르니 주의. Redis 등의 별도 세션 서버를 두는 방법도 있다. 로드 밸런싱과 다른 점 -> 로드 밸런싱은 WAS의 한쪽에 부담이 가지 않게 하기 위해 분산시켜주는 목적 -> 세션 클러스터링은 하나의 서버에 발생하는 장애를 방지하는 임시방편 2022. 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