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용어정리45

CPU, Storage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 처리 장치. 컴퓨터의 주요 기능들을 관할하는 장치다. 시스템에 존재하는 모든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고 명령을 실행한다. 제어 장치, 연산 장치, 레지스터, 그리고 앞의 3가지를 연결하는 내부 버스로 구성되어 있다. - 제어 장치 : 컴퓨터에 있는 모든 장치들의 동작을 지시하고 제어한다. - 연산 장치 : 제어 장치의 명령에 따라 실제로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 레지스터(Register) : CPU 내부에서 처리할 명령어나 연산의 중간 결괏값을 임시로 저장하는 기억 장소. - 버스 : 장치들 간 상호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해 연결된 공동의 전송선. Storage 저장 장치. 어떤 방식으로 연결하냐에 따라 방식이 나뉜다. - Direct Attac.. 2021. 7. 15.
ACL, Instance, Security Group 이전 글과 같은 출처에서 정리해 작성했다. ACL(Access Control List) 어떤 개체에 적용된 허가 목록. 누가 허가를 받는지, 어떤 작업을 허가를 받는지를 지정한다. 크게 보면 방화벽과 같은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네트워크 ACL은 Stateless하게 작동한다, 라고 하는데...이것은 모든 트래픽을 허용하는 것이 기본설정이라는 의미다. 그래서 불필요한 트래픽을 막는 방식으로 적용해야 한다. 적용 단위는 Subnet 단위라고 한다. Security Group과 충돌한다면 우선 순위에서 밀린다고 한다. Instance IT 전반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는 용어인데, 클라우드 쪽에서는 기본이 되는 가상서버를 의미한다. 추가로, Volume은 저장공간을 의미하고, Snapshot은 서버/볼륨 등을.. 2021. 7. 14.
VPC, Gateway, Subnet 언제나 후회하는 점이지만, 학교 수업에서 다 들었던 용어들이다. 그때 확실하게 기억해 놓았더라면 지금 이렇게 삽질할 필요가 없을텐데. 용어 정리에는 해당 용어의 대략적인 정리만 하고 있다. 까놓고 말해 "XXX가 무엇인가?" 라고 질문이 들어왔을 때 무리 없이 넘길 정도의 답변만 정리하고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나중에 필요해질 때 다시 정리할 것이다. Subnet 그나마 학교에서 배운지 얼마 안된 개념이라 기억이 잘 난다. 네트워크에 연결할 단말(클라우드면 인스턴스라고 해도 좋겠다)이 많아지면, 할당해줄 주소가 모자라다. 물론 나름 주소를 분류하는 방법은 있다 Class별로 주소를 매기는 방식이 있긴 한데, 단말의 수가 워낙 많아지다 보니 클래스에만 의존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더 적절하게 네트.. 2021. 7. 14.
RAM, ROM 질문을 받았을 때, 명쾌하게 대답이 나오지 않는다면 일단 정리해야겠다. RAM과 ROM은 주기억장치를 이루고 있다. RAM(Random Access Memory) RWM(Read Write Memory)라고도 한다. 자유롭게 읽고 쓸 수 있다. 현재 사용 중인 프로그램/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며, 시스템이 꺼지면 내용이 날아가는 휘발성 메모리다. 일반적으로 주기억장치,라고 부르면 RAM을 가리킨다.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한다. 1. SRAM(Static RAM) : 정적 RAM. DRAM에 비해 용량이 적고 속도가 빠름 2. DRAM(Dynamic RAM) : 동적 RAM. 용량이 크고 가격이 저렴하다 3. PSRAM(Pseudo SRAM) : DRAM의 단점을 보완한 RAM. SRAM처럼 사용 .. 2021. 7. 14.
CI, CD DevOps에서 자주 나오는 용어다. 학교에서 소프트웨어공학 수업 중 Agile 방법론에서도 언급되었던 용어다. CI(Continuous Integration) 개발자를 위한 자동화 프로세스. 여러 개발자가 작성/수정한 소스를 지속적으로 통합하고 테스트하는 것을 의미한다. App에 대한 코드 변경 사항이 정기적으로 빌드/테스트되어 통합되므로 여러 개발자가 동시에 작업을 할 경우 충돌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장점으로는 개발의 편의성 증가/변경된 코드에 대한 빠른 피드백, 테스트 가능/소스의 통합, 검증에 들어가는 시간 단축이 있다. CD(Continuous Delivery/Deployment) 개발, 통합, 배포, 릴리즈, 테스트를 자동화하여 지속적으로 배포하는 것. 검증된 소스를 지속적으로 .. 2021. 7. 14.
Runtime, Process Runtime 컴파일 과정을 통해 실행 가능한 파일이 된 프로그램은 사용자에 의해 실행될 것이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이 존재하는 곳을 Runtime이라 한다. 프로그래밍 언어가 구동되는 환경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발생하는 에러 중 'Compiletime Error'와 'Runtime Error'가 있는데, 전자는 컴파일 단계에서 에러가 발생한 것이기에 코드를 수정해야 하고, 후자는 잘못된 입력/예상치 못한 오류/충돌 등으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다. Process 실행 중인 프로그램을 Process라고 한다. 프로그램 그 자체는 정적인 명령어와 데이터의 묶음이다. 이 묶음이 메모리에 적재되어 실행되면 프로세스가 되는 것이다. 프로세스의 구성 요소로는 프로세스 식별을 위한 PID(.. 2021. 7.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