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54

[42일 차] 21.09.16 : AWS 2 AWS 기초 구성 1교시 각 호스팅 모델에 따라 기억할 만한 AWS 서비스 -> AWS SAA 시험 대비용 IaaS : EC2, VPC, EBS PaaS : AWS Elastic Beanstalk FaaS : Lambda, API Gateway SaaS : Google Drive 클라우드의 큰 범주로는 1. Public Cloud -> 외부 인터넷과 연결되어 있는 클라우드 2. Private Cloud -> 특정 회사가 On-premise 환경에 데이터센터를 두고, 실제 물리적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를 구현하는 것 -> 특정 사용자에게만 인가된 인프라. 3. Hybrid Cloud -> 위 2개의 조합. 1과 2를 전용 회선(VPN)으로 연결한다. -> 보안 우선순위에서 중요한 것은 프라이빗(On-p.. 2021. 9. 16.
[41일 차] 21.09.15 : Ansible 5(AWS, VPC), AWS 1 1교시 지금까지는 테스트를 위해 Vagrant 환경에서 실습했지만, 실제 상황에서는 AWS 환경에서 하게 될 것이다. 앤서블 노드는 AWS 인스턴스가, 앤서블 서버는 AWS 인스턴스나 호스트 PC로 하게 될 것이다. -> 앤서블을 Windows에서 사용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Windows에서 앤서블을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로 WSL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Windows Subsystem for Linux Windows 기능 켜기/끄기로 들어가서 ->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 -> 가상 머신 플랫폼 2개 체크하고, 재부팅 후 설치 완료. AWS SAA 자격증을 슬슬 준비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하셨다. 뜨끔. 받은 VCE 파일 중 manager 실행하면 덤프 문제 풀기 가능. 2교시 .. 2021. 9. 15.
[사전교육 4일 차] 21.07.15 : 관련 용어 정리 4 + 네트워크 기초 사전교육 5일 차. . . . 교육과정 전반으로부터 배우는 것은 1. 시스템 2. 네트워크(VPC) 3. 클라우스 서비스 이런 것들인데, 이것들을 배우기 전에 기초 IT 지식들이 선행되어야 한다. 오늘 사전교육에서는 네트워크 개요와 IT 기본을 학습했다. 듣고 난 이후 소감. 학교 수업 더 잘 들어둘걸. 다행히 통신 관련 수업들은 들은 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기억이 잘 난다. . , , VPC를 집에 비유한다면 Subnet은 방, 인스턴스는 방 안의 물건, 사용자는 방 안의 물건을 쓰러 들어오는 사람이라고 할 수 있다. 네트워킹이라는 것은 각각의 장비들이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묶어주는 것이다. 인터넷은 범 세계적 규모의 네트워크다 - 하나의 프로토콜(WWW)만 사용한다. - 웹 브라우저를 사용한다. - .. 2021. 7. 15.
[사전교육 3일 차] 21.07.14 : 관련 용어 정리 3 + AWS 입문 사전교육 4일 차. . . . 오늘은 AWS 가입, EC2 인스턴스 생성, SSH 접속 등을 진행했는데... 이전에 프로젝트를 한두 번 하며 해본 경험이 있어서 다행이었다. 이미 알고 있는 내용들이었다. AWS 계정에는 루트 사용자와 IAM 사용자가 있는데, 루트 사용자는 최고 권한의 관리자 계정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결제 계정). IAM 사용자는 일반 작업을 위한 사용자 계정이다. 실무에서는 루트 계정은 보안 문제로 잘 쓰지 않는다고 한다. 용도에 맞게 루트 사용자 밑에 IAM 사용자를 둔다. AWS Service를 보면 굉장히 많은 기능이 있는데, 본 교육 과정은 인프라 구축 엔지니어 과정이기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기능만을 학습할 예정이다. AWS 사용 시 Billing에 주의할 것. AWS 설명서.. 2021. 7. 14.
[사전교육 2일 차] 21.07.13 : 관련 용어 정리 2 사전교육 2일 차. . . . 강사님이 1일 차에도 강조했던 말이지만, 용어에 익숙해지는 것이 학습의 첫걸음이다. 용어를 일반적인 단어처럼 자유롭게 쓰고, 누군가 용어의 의미를 물으면 막힘없이 대답할 수 있다면 완성이다. 또한 목적을 가지고 공부하는 것이 좋다고 한다. 교육과정에서 배우는 네트워크 지식은 Redhat 자격증인 RHCSA 8이나 CCNA를 딸 정도는 수업한다고 한다. 컴퓨터 구성요소들의 정의를 알아놓으면 좋을 것 같다. (예시 : OS란 무엇인가?) . . . On-premise에서 cloud 환경으로의 migration이 늘어나며, 클라우드 시장이 점점 더 커지고 있다. 클라우드 환경은 사용자가 설비를 구매할 필요가 없으며, 원할 때 사용할 수 있고, 확장성(용량 조절 능력)이 좋다. O.. 2021. 7. 13.
[사전교육 1일 차] 21.07.12 : 관련 용어 정리 1 사전교육 1일 차. . . . K-Digital AWS 과정 - 정식 명칭은 'Ansible 자동화로 구현한 클라우드 환경 DevOps 과정' - 시작 전 주에 사전교육이 시작되었다. 필수 참여는 아니었으나, 딱히 할 일도 없었고, OT라는 느낌으로 참여했다. 클라우드 관련 직무를 대략적으로 나누면 개발/운영 직무가 있는데, 이 과정은 운영 직무를 교육받는 과정이라고 한다. 인프라 구축/운영, AWS 리소스 관리 교육을 받고, 클라우드 서비스 대행업체 취업을 타깃으로 잡는다고 한다. 물론 모든 교육과정이 그러하듯, 본인 하기 나름이다. 언어는 Python을 사용한다고 한다. . . . 교육 초반에는 IT 용어에 익숙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들었다. 사전교육 기간 동안은 튜토리얼이라 생각하고, 들은 것을 정.. 2021.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