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WS54

AWS DB 공부 일정 하고 많은 AWS 서비스 중 DB 관련해 공부를 하다 보니, 이것저것 테스트를 할 일이 생긴다. 부끄럽게도 이론충이라 문서나 다른 사람들의 글만 보고 공부해봐서, 이제 슬슬 자체 테스트를 위한 DB가 필요하다. 특히나 Migration쪽을 시작하니 테스트는 필수더라. 이 주제는 시리즈로 작성할 예정. 1. AWS EC2에 DB 설치해서 샘플 DB 만들기 2. AWS RDS를 사용해 샘플 DB 만들기 3. 위에서 생성한 DB들로 DMS(+ SCT) 사용해보기 어떤 엔진을 사용할지는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위 과정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 AWS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DB 구성 방식에 대한 실습 - 점차 증가하는 Migration에 대한 수요에 대비해 엔진별 Migration에 대해 학습한다 - DMS,.. 2022. 5. 1.
TypeORM Migration 개념 정리라고 보긴 어려운 내용이다. 시작은 ORM이라는 개념이었는데, 이걸 쭉 읽으면서 이해하기엔 시간이 모자랐다. https://gmlwjd9405.github.io/2019/02/01/orm.html [DB] ORM이란 - Heee's Development Blog Step by step goes a long way. gmlwjd9405.github.io 1차 필터링 - 정확히는 TypeORM에 대해 궁금했다. 그런데 이것도 처음부터 이해하기엔 시간이 모자랐다. https://team.modusign.co.kr/typeorm%EC%9C%BC%EB%A1%9C-%EB%8D%B0%EC%9D%B4%ED%84%B0%EB%B2%A0%EC%9D%B4%EC%8A%A4-%EB%A7%88%EC%9D%B4%EA%B7%.. 2022. 4. 25.
Aurora 읽기 quorum 문제 Aurora는 쿼럼 모델로 작동한다고 알고 있다. 그런데 읽기 작업에서 3개 쿼럼이 성공하면 읽기 성공으로 친다는데, 이러면 읽기 시간이 길어지는 것 아닌가? 결론부터 말하면 아니다. Aurora가 Read quorum이 아닌 Repair quorum이기에 그렇다는데, 이게 무슨 소리인지 알아보자. 읽기 성공을 위해 3개 스토리지 노드를 읽는다고 생각할 수 있는데, 이게 아니기에 읽기 지연이 없는 것이다. 6개 중 3개를 골라 읽는다던가, 6개 중 3개가 일치하면 옳은 정보로 생각한다던가 그런 것이 아니다. 비동기식 저장 방식이기에 응답 시간이나 처리 속도가 제각각이기에 어떤 노드는 LSN이 좀 늦을 수도 있고, 어떤 노드는 빠를 수 있다. 애초에 인스턴스는 응답 시간이 가장 빠른/LSN이 가장 높은(빠.. 2022. 4. 14.
AWS DocumentDB 비용 문제 DocumentDB는 많이 쓰지 않는 것 같다. MongoDB 호환 서비스라 해당 사용자들이 많이 넘어올 것 같은데 생각보다는 그리 영향이 크지 않아 보인다. 왜지? 이리저리 찾아보니 비용이 너무 많이 나온다고 한다. 어디에서 비용이 많이 나오지? -> 당연히 스토리지와 IOPS 비용이다. 그럼 무슨 짓을 하길래 2가지 지표가 폭증하는지 찾아보자. 1. 스토리지 DocumentDB는 데이터 수정 시 기존 데이터를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신규 데이터로 취급해서 저장한다고 한다. 이 말은 기존 데이터는 쓰레기가 되어 남아있고, 새로운 공간을 잡아먹는다는 의미다. MongoDB에서는 Compact라는 작업으로 이 쓰레기들을 청소할 수 있다고 한다. 물론 DocumentDB에도 비슷한 작업이 있다고 하는데, 이게.. 2022. 4. 14.
RDS와 Aurora의 백업(수정 중) RDS에서의 자동 백업과 Aurora에서의 자동 백업의 상세한 정보를 정리 공통 -> 자동 스냅샷이 증분 방식인데, 첫 스냅샷(전체본)을 삭제해도 증분 스냅샷을 사용할 수 있다. (증분 스냅샷에서의 Merging) -> 자동 스냅샷 사용하기 싫으면? : 생성할 때 설정 체크를 해제하던가, 유지 기간을 0일로 설정하던가. -> 자동 스냅샷을 35일 이상 유지하려면? : Lambda 트리거 달아서 쓰기(이 경우 수동 스냅샷임), AWS Backup 쓰기 -> 특정 시점 복원이 가능한 최근 시간은 보통 5분 전. 최근 5분간 발생한 데이터는 손실될 수 있다. RDS -> 역추적 지원 안함 -> 자동 스냅샷 주기 30분까지 줄일 수 있음 -> 리전마다 백업 시간(서울은 21:00~05:00) 중 백업 기간(기본.. 2022. 4. 14.
DynamoDB 테이블 용량 조절 구조 DynamoDB 생성 시 결정해야 하는 설정 중 고민하게 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용량 계산기 -> 평균 항목 크기(KB), 초당 읽기/쓰기 항목 수치, 읽기 일관성과 쓰기 일관성 각 용어의 정의부터 정리하고 넘어가겠습니다. 봐도봐도 헷갈립니다. - 평균 항목 크기 : KB 단위 - 항목 읽기/초 : 항목 읽기/초 * 평균 항목 크기 = 읽기 용량 단위 - 항목 쓰기/초 : 항목 쓰기/초 * 평균 항목 크기 = 쓰기 용량 단위 - 읽기 일관성 - 최종적 읽기 일관성 : 최근 완료된 쓰기 결과가 반영되지 않을 수 있음. 요청 반복 시 최신 결과 반환 (읽기 2번에 단위 1) - 강력한 읽기 일관성 : 최근 완료된 쓰기 결과를 반영한 응답 반환. 그러나 지연 시간이 더 길 수 있고, 네트워크 상태에 문제가 생.. 2022.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