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버25 [30일 차] 21.08.31 : Linux Server 9 1교시 Proxy 기능 배울 예정 -> 3 티어 서버 구축 시 사용되는 리버스 프록싱 :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응답하기 위해 서버에서 자원을 추출하는 것 3 티어 서버 : 앞단의 웹 서버(아파치, nginx), 그 뒤에 WAS 서버, 그 뒤에 DB 서버. -> WAS, DB는 사설 네트워크(내부망)에 두고, 외부는 웹 서버에 연결 -> 정적 콘텐츠(html, 홈 페이지 등)는 웹 서버에서 바로 응답, 동적 콘텐츠(페이지 내의 기능)는 WAS에서 관리 -> 리버스 프록시 기능으로 WAS, DB에서 요청에 맞는 자원을 뽑아 그 내용을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으로 보낸다. Proxy 서버 클라이언트가 서버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서비스에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컴퓨터 또는 응용 프로그램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이.. 2021. 8. 31. [29일 차] 21.08.30 : Linux Server 8 오전에는 firewalld 방화벽 관련 서비스다. httpd처럼 systemctl status 등의 명령어로 확인 가능. 이전에 배웠던 Windows 방화벽을 보면, 인바운드 규칙 등 허용하는 목록들이 있었는데, 리눅스에서는 이 목록들을 firewall-cmd --list-services 명령으로 볼 수 있다. 여기 쓰여 있는 서비스만 허용되는 것. 방화벽은 일반적으로 내부와 외부 네트워크의 경계 지점에 위치한다. 내부 네트워크를 안전하고 신뢰할 만하고, 그리고 외부 네트워크는 안전하지 못하고 신뢰하기 어렵다는 가정 하에 그 정책과 규칙을 적용한다. 내부와 외부는 서버 자체로 나눈다. 일반적인 방화벽은 외부에서 내부로 들어오는 것을 차단하지만,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는 것은 별로 신경 쓰지 않는다(따로 적.. 2021. 8. 30. [28일 차] 21.08.27 : Linux Server 7 10장 사용자 관리 디스크 사용량(쿼터) 설정은 넘어간다. 사용자 계정을 통해 사용자는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고, 관리자는 사용자 계정의 권한을 제어해서 사용자들을 통제 /etc/passwd : 사용자 계정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1. 로그인 ID : 사용자 계정의 이름. 기본 제한은 32자를 넘을 수 없다. 2. x : 초기 유닉스 시스템에서 사용자 암호를 저장하던 필드. 이제는 /etc/shadow 파일에 별도 보관 3. UID : 사용자 ID 번호. 시스템이 사용자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하는 번호 -> 0~999번과 65534번은 시스템 사용자를 위한 예약된 UID(0은 root, 1은 bin, 2는 daemon, 3은 adm 등) -> 일반 사용자는 UID 1000부터 할당 -> 리눅스 시스템은 로.. 2021. 8. 27. [27일 차] 21.08.26 : Linux Server 6 8장 : 리눅스의 부팅과 종료 지금까지 배운 명령어들로 운영하는 것보다 중요한 것이 부팅과 종료. 1. 바이오스(BIOS) 단계 미세 전류를 하드웨어에 보내 정상 작동이 가능함을 확인(하드웨어 검사 : POST 과정) : 삑! 소리 -> 우선 순위에 따라 부팅 장치 선택 -> 디스크 앞에 있는 MBR(부팅 기본 설정 정보가 있다)을 읽는다(MBR 로드) -> MBR 뒤에는 부트 섹터가 있는데, 여기에 부트 로더가 있다. 이 정보를 메모리에 올린다(부트 로더 로드) 2. 부트 로더 단계 -> 메모리에 올려진 부트 로더가 여러 OS 중 부팅할 OS를 선택할 수 있도록 메뉴 제공 -> 부트 로더는 리눅스 커널을 메모리에 로딩 -> "/boot/vmlinuz-버전명"의 형태로 리눅스 커널이 제공된다. -> Ce.. 2021. 8. 26. [26일 차] 21.08.25 : Linux Server 5 어제 내용 복습 차원에서 실습 1. sleep 100, sleep 150 2개의 명령을 백그라운드로 실행 -> sleep 100 &, sleep 150 & 2. 현재 실행 중인 백그라운드 작업이나 정지된 작업을 확인 -> jobs 3. 백그라운드로 실행 중인 sleep 프로세스 중 1번 작업을 종료 -> kill -9 PID 또는 kill %작업번호 4. 백그라운드 작업을 포그라운드로 전환 -> fg %작업번호 5. 포그라운드 작업을 강제 종료 -> Ctrl + c 작업 예약 : 정해진 시간에 한 번만 수행(at), 정해진 시간에 반복 수행(cron) at [옵션] [시간] -> 데몬 프로세스에 의해 수행된다. 항상 메모리에 올라가서 상주 중. at는 알 필요 없다. crontab [-u 사용자 ID] .. 2021. 8. 25. [25일 차] 21.08.24 : Linux Server 4 4장 : 환경/지역 변수 기억하기. -> 사용자가 쉘을 변경할 때, 환경 변수는 유지되고, 지역변수는 확인할 수 없다. -> 지역 변수를 환경 변수로 전환할 수는 있으나, 특정 사용자가 정의한 환경 변수는 해당 로그인 환경에만 한정된다. -> 다른 사용자가 같이 사용하려면 사용자 환경설정 파일에 손을 대야 한다. alias : 긴 명령을 매번 치기 번거로우니 별칭을 만들어 쓰는 것. -> 여러 명령을 연결하거나, 특정 명령에 옵션을 기본값으로 붙일 때 사용 alias 별칭='명령' or alias 별칭='명령1;명령2;명령3;...' alias를 치면 현재 로그인 사용자가 사용하는 alias 출력 명령어를 입력받으면,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alias 확인 alias 만들 때 주의할 점 -> 별칭='명령'.. 2021. 8. 24. 이전 1 2 3 4 5 다음